전기차 최소 8만km 타야 지구에 도움 이유는?
전기차 최소 8만km 타야 지구에 도움 이유는?
현대차 기아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로테이터캠’ 공개
전기차를 구매하면 최소한 8만 km 이상을 달려야 내연기관차보다 환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가 정말로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번에는 루카스 우들리라는 하버드 졸업생이 연구를 통해 이 문제를 집중 조명해 눈길을 끌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BEV(배터리 전기차)가 환경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배터ㅁ리 교체 없이 최소 8만 km는 달려야 한다.
운전자들이 1년에 평균 22,000km를 운전한다고 가정할 때 BEV 소유자들이 내연기관차를
운전하는 것보다 탄소 발자국을 눈에 띄게 줄이려면 거의 4년이 걸리는 것이다.
우들리는 연구에서 비(非) 럭셔리 BEV의 배터리 팩을 제조할 때 생산되는 상당한 탄소 배출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5,000km을 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터리 크기에 따라 그 수치는 109,000km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효율적인 전기차로 구분되는 GMC 허머 EV는 거대한 212kWh의 배터리 팩을 적용했는데,
이는 닛산 리프의 40kWh 배터리와 같은 소형 배터리 전기차보다 생산에서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또한, 전기차는 배기가스 제로로 여겨지지만, 충전을 위한 전기 생산은 배기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포드의 경우 발전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V2G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일부 소유자들이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권장 주행거리를 운행하기 전에 전기차를 판매하는 것에 주목했다.
결국, 이런 소유자들은 환경에 더 해를 끼친다.
우들리는 이런 사람들은 차라리 전기차 대신 내연기관차를 구매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들리는 “많은 거리를 운전하는 사람은 전기차 운행에 적합하다”면서
“그러나 운전을 거의 하지 않고 주로 주차장에 세워두는 사람은 내연기관차를 소유하는 것이 환경에 더 좋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런 연구 결과는 그동안 많은 전기차 반대론자들이 수년간 주장해온 입장을 뒷받침한다.
전기차와 관련한 개선이 매일 이뤄지고 있지만, 전기차가 지구를 구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전기차는 고속 충전과 저속 충전 중 어느 것이 주행거리를 늘리는데 더 유리할까.
자동차를 분석해 보고서를 제공하는 미국 중고차 업체 리커런트 오토(Recurrent Auto)는 전기차의 고속 충전과 비교적
느린 저속 충전 시 전기차 주행거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미국 내 1만 2500대 이상의 테슬라 전기차 데이터를 분석했다.
전기차 차주라면 보통 DC 고속 충전이 장기적으로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할 수 있다.
즉, 급속 충전을 주로 사용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 성능이 빠르게 저하될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리커런트 오토의 조사에 따르면 DC 고속 충전은 AC 충전과 비교할 때 주행거리 저하율이 통계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를 위해 최소 90%의 시간 동안 급속 충전하는 자동차와 10% 미만의 시간 동안 급속 충전하는
자동차를 비교한 결과, 두 충전 방식 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그래프는 테슬라 모델 Y 4,400대와 테슬라 모델 3 6,300대를 대상으로 1000일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동차 대시보드에 표시된 원래 주행거리의 퍼센트가 감소하는 수치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자주 고속 충전을 이용하는 차량 군과 거의 고속 충전을 이용하지 않은 차량 군의 주행 거리 감소율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