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싼타페 PHEV

현대 싼타페 PHEV 국내 출시 검토 2세대 시스템 탑재

현대 싼타페 PHEV 국내 출시 검토 2세대 시스템 탑재

스포츠카 필 의 픽업트럭 포드 레인저 랩터

최근 현대차는 국내에 신형 싼타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출시를 검토하고 공식 입장을 밝혔는데요.

현대차는 신형 싼타페 PHEV 모델은 2세대 PHEV 시스템을 탑재해 우선 북미 시장에 먼저 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차 그룹은 최근 차세대 PHEV 시스템 개발계획을 공개했습니다.

현대차는 올해 하반기에 개발을 시작해 2025년 싼타페 PHEV를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종류 중 하나로 두 개의 구동계에 모두 연료를 공급하여 운행하는 차량인데요.

전기자동차의 약점인 충전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의 혼합 형태입니다.

전기를 충전해서 달리는 구동계와 기름을 넣어서 달리는 구동계가 모두 존재하는 형태입니다.

2세대 PHEV는 새로운 고밀도 배터리 팩과 개발 중인 두 개의 새로운 전기 모터가 장착됩니다.

한 번 충전으로 전기 모드로 최대 100km를 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싼타페 PHEV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현대차그룹의 기존 PHEV 시스템에 비해 2세대 시스템은 전력 성능과 전기 모드 주행거리, 연료 효율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8월 현대차를 대표하는 중형 SUV 싼타페가 풀체인지 모델로 출시됐습니다.

2018년 4세대 출시 이후 5년 만에 선보이는 5세대 모델인데요.

새로운 2024년형 싼타페는 외관 디자인뿐만이 아닌, 성능, 연비 등 모든 측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다만 2024년형 싼타페는 우선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버전만 나왔습니다.

현대와 기아는 2021년부터 상업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내수용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를 지양했는데요.

정부의 친환경차 혜택이 순수 전기차 위주로 진행되어 PHEV는 보조금 혜택 면에서 메리트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배터리와 엔진이 함께 탑재되어 무겁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PHEV는 한국에서 인기를 얻지 못했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매일 충전이 가능한 상황에서 메리트가 있는 PHEV, 대한민국에서는 그러한 환경이 마련된 운전자가 적기 때문에 PHEV는 전량 해외 수출용으로 생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최근 전기차 보조금이 감소했으며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을 이유로 전기차 판매량이 예전에 비해 저조해진 상황인데요.

작년 기준 국내 전기차 판매의 경우 2022년 대비 3% 감소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현대차의 2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및 출시 발표는 국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장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5년 나올 싼타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 모터와 배터리의 스펙이 더욱 업그레이드된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파워 트레인을 기반으로 하는데요.

국내에 출시되는 신형 싼타페 PHEV 가격대는 5400만~ 6000만 원대 다소 비싼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세대 PHEV 시스템은 가장 먼저 현대차 ‘그랜저’에 도입되며, 이후에는 ‘싼타페’와 기아의 ‘쏘렌토’에까지 확장될 계획입니다.

더욱이, 앞으로 이 기술을 다양한 차량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By bmb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