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차량 경유차 대안 ; 기름값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최근 가격이 조금 내리긴 했지만, 여전히 휘발유차나 경유차에 기름을 넣는 게 부담스럽기만 하다.
전기차가 아직은 고가라는 점을 감안할 때 현실적인 대안은 없을까.
몇몇 전문가는 LPG가 휘발유차·경유차를 대체하기에 충분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연료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성능도 몰라보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부와 제조업체가 LPG차에 별 관심이 없다는 점이다.
[ 친환경 그린수소 , 현대차 궁극적 제주 글로벌 허브 구축 계획 연계 수소차 보급 ]
지난 2월 발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는 국제 사회의 질서를 단번에 무너뜨리며 글로벌 경기침체를 불러왔다. 자동차 시장도 이런 흐름을 피할 수 없었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건 유가였다. 러시아발 수급 불안 우려로 폭등하기 시작한 국제유가는
3월 배럴당 139.13달러(브렌트유 기준)를 돌파하며 1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주유소 기름값도 덩달아 치솟았다.
지난 6월 전국 주유소의 평균 휘발유 가격은 리터(L)당 2120.6원을 기록하며 10년 2개월 만에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기름값이 요동치면서 휘발유·경유로 달리는 자동차 운전자의 부담도 대폭 늘어났다.
특히 기름값 아끼겠다며 경유차를 구입한 운전자는 땅을 칠 만하다. 경윳값이 휘발윳값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경유차를 찾는 주된 이유는 싼 경유 덕분에 휘발유차보다 연료비가 덜 든다는 이유에서였다.
다행히 지난 9월 들어 국제유가가 제자리를 찾아가면서 국내 기름값도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84.06달러(9월 26일 기준)로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같은 기간 전국 주유소의 평균 경유 가격도 L당 1841.56원으로 6월(29일·2162.25원) 대비 14.8% 하락했다.
그런데도 디젤차 운전자들의 불안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예상치 못한 대외 변수가 찾아올 때마다 ‘기름값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걸 경험해서다.
LPG차량 경유차 대안
이뿐만이 아니다. 그동안 정부는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를 위해 ▲유종(연료의 종류) ▲연식
▲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라 자동차의 등급을 나누고, 도심 진입이 가능한 차종과 그렇지 않은 차종을 구분하는 ‘배출가스등급제’를 운영해왔다.
이에 따라 다섯개로 나누어진 등급 중 5등급에 해당하는 차량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의 운행이 불가능하다.
문제는 현행 체계에서 5등급 차종에만 적용됐던 운행 제한이 향후 4등급으로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 경우 운행 제한을 받는 디젤차 대수가 늘어나는 한편, 조기폐차 명령을 받는 사례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건은 경유차를 대체할 차종이 있느냐는 건데, 전기차가 유력한 대안으로 꼽힌다.
전기차는 배기가스 규제 기준 1등급에 해당하는 차종으로 운행에 제약이 없다.
아울러 일반 내연기관차에 비해 약점으로 꼽혔던 주행 성능도 1회 충전 시
400~500㎞ 수준으로 상향평준화했다. 전비(전기차의 연비) 또한 경유차에 비해 높다.
다만, 디젤차 운전자가 당장 전기차로 넘어가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전기차 보조금이 상당 부분 소진됐고,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제때 신차가 보급되지 못하면서
인기 모델은 기본적으로 1년 이상 기다려야 차를 받을 수 있다.